ESG 펀드가 저조한 수익률을 기록하는 가운데 미국 공화당이 연기금의 ESG 투자를 저지하는 결의안을 상원에서 통과시켰다. 다만, 조 바이든 정부의 핵심 정책인 만큼 바이든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할 것이라는 전망이 주를 이룬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1일(현지시간) 퇴직연금 수탁사가 투자를 결정할 때 ESG 요소를 고려해야 하는 노동부 규칙을 반대하는 결의안이 찬성 50 대 반대 46으로 상원에서 통과됐다.

앞서 미 노동부는 지난 2021년 '재무이익 최우선'이란 투자 목표를 삭제하고 'ESG 리스크 고려'를 추가한 퇴직연금 개정안을 발표했다.

미국 국회의사당(United States Capitol) 전경 (사진=위키백과)

이번 ESG 요소 반대 결의안은 민주당이 다수(51/100석)를 차지한 상원에서 부결될 것이란 관측이 우세했지만, 민주당 내 온건파 의원들이 찬성에 손을 들면서 상황은 반전됐다.

이날 온건파로 분류되는 존 테스터 민주당 의원은 "고물가 상황에서 퇴직연금은 수익률에 집중해야 한다"며 "과도한 ESG 규제는 노동자의 은퇴계좌를 훼손시킨다"고 지적했다.

미국 싱크탱크 헤리티지재단에 따르면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미 ESG 펀드의 연평균 수익률은 6.3% 수준이다. 이는 같은 기간 시장 벤치마크 수익률인 연 8.9%보다 2.6% 낮다.

하지만 블룸버그는 공화당의 뜻대로 ESG 요소 반대 결의안이 통과되기는 힘들 것으로 예측한다.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 이후 첫 거부권을 행사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ESG 정책은 바이든 정부의 핵심 정책이다.

대통령 거부권을 무효로 하기 위해서는 재적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표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