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국내 증시가 불붙고 있다. 이달 들어 전체 상장 주식 5개 종목 중 1개 종목이 52주 신고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6월 2~13일까지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서 장중 52주 신고가를 기록한 종목(스팩·리츠 제외)은 모두 444개로 집계됐다. 현재 거래 중인 전체 상장 종목(2559개)의 17%에 달한다.
시장별로 보면 유가증권시장에서 260개(29%), 코스닥시장에서 184개(11%) 종목이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특히,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정책 수혜가 기대되는 증권사와 지주회사들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이재명 대통령은 상법 개정 등을 통해 ‘코스피 5000’을 달성하겠다는 청사진을 밝힌 바 있다.
지난 9일의 경우 롯데지주는 장중 3만2300원까지 오르며 52주 신고가를 경신했으며, 같은 날 대신증권·부국증권도 각각 2만6600원, 4만6500원까지 올라 52주 최고가를 새로 썼다.
신재생에너지주도 ‘이재명 랠리’에 가세했다. 이 대통령은 대선 과정에서 기후·에너지 정책을 총괄할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고, 태양광·풍력 보급 확대 등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신재생에너지 기업 중 HD현대에너지솔루션은 4일 5만8700원, LS마린솔루션은 12일 3만4600원을 기록하며 52주 신고가 기록을 세웠다.
대북 확성기 방송 중단 등의 여파로 남북경헙 관련주도 52주 신고가를 새로 썼다. 제이에스티나는 10일 3775원, 아난티는 13일 1만760원을 기록했다.
이 밖에 지역화폐 서비스 확대 기대로 코나아이는 9일 8만6000원, 카카오페이는 13일 6만4600원 등 관련 종목도 52주 신고가를 기록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11일 한국거래소를 방문해 발언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이젠 한국주식시장을 투자할만한 곳으로 바꿔야 한다"며 "배당 촉진을 위한 제도개편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사진=MBC뉴스 캡처]
코스피는 이달 들어서만 7.3% 올라 2900선에 근접하고 있다. 대선 전날인 2일부터 12일까지 7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지속했다. 13일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에 조정을 받았지만, 상법 개정 등 정책 기대감이 남아있는 상황이다. 같은 기간 코스닥지수도 4.7% 상승했다.
이웅찬 iM증권 연구원은 “일부 정책 관련 주식은 상승 폭이 커 차익실현을 고민할 자리에 다다랐지만, 정책 기대감이 당장 마무리될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밝혔다.
다만 이스라엘과 이란의 충돌, 상호관세 리스크 등 대외적인 변수가 산재한 건 주가 변동성을 키울 수 있는 요인이다.
황준호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다음 달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종료가 다가오는데 트럼프 대통령의 심기는 아무도 알 수가 없다. 이 자체가 매크로 불확실성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