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정우 포스코홀딩스 회장의 임기가 반년 가량 남은 가운데 사법 리스크로 임기를 못 채울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최 회장은 최근 업무상 배임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불구속 송치됐다.
앞서 최 회장은 공식적인 관용차 이외에 회사차를 별도로 배정받아 가족 등과 사적 용도로 사용했다는 의혹으로 지난해 10월 포항의 한 시민단체로부터 고발당했었다.
제공받은 회사차는 최고급 리무진인 제네시스 G90 롱휠베이스(롱바디)와 제네시스 G90(숏바디)로 알려졌다.
일반적으로 기업들은 임원에게 운전기사와 차량을 제공하지만, 임원에게 고급 세단 두 대를 제공하는 사례는 찾기 힘들다는 지적이다.
김영종 포스코홀딩스 법무팀장은 지난 22일 '사안의 진상을 알려드립니다'란 이메일을 임직원에게 발송해 해당 사안에 대해 해명했다.
김 법무팀장은 최 회장의 가족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일부 이용하긴 했지만, 배임과는 무관하다고 주장했다.
업무차 두 대 제공에 대해선 "퇴근 이후나 주말에 운전기사를 배려하기 위해 직접 차량을 몰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롱바디 차량이 운전하기 힘들고 사고 위험 때문에 작은 차량을 별도 제공했다"고도 밝혔다.
아울러 "롱바디 차량을 배정받은 부회장에게도 동일한 숏바디 차량을 추가로 제공했다. CEO만 특혜를 받았다거나 가족용으로 추가 배정한 것이 아니다"며 김학동 부회장도 같은 혜택을 받은 점을 밝혔다.
김 법무팀장의 이러한 해명은 오히려 배임 혐의를 인정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검찰 기소가 확정될 경우 최 회장이 연내 하차할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다. 포스코그룹의 기업가치 재평가로 3연임 전망도 나왔지만, 현재 연임 임기조차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 된 것이다.
포스코의 노사 갈등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최 회장의 상반기 임금 내역도 논란이 되고 있다.
포스코 노사는 올해 임금 및 단체 협상을 벌이고 있다. 지난달 23일까지 20차례 교섭을 진행해 왔지만, 타협점을 찾지 못했다. 이후 29일 만인 지난 21일부터 임단협 교섭을 재개했지만, 창사 이래 첫 파업이 나올 수 있다는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포스코 노조는 2023년 임단협에 들어가면서 △기본급 13.1% 인상 △조합원 대상 자사주 100주 지급 △목표 달성 성과급 200% 신설 △조합원 문화행사비 20억원 지원 등을 요구했다.
최 회장이 높은 보수를 지급받으면서 직원들에게 경영 위기를 이유로 임금 인상 자제를 요구하는 게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평가다.
최 회장이 지급받은 상반기 보수는 24억원으로 작년 대비 26.3%나 인상됐다. 포스코홀딩스는 지난 4월 포스코홀딩스와 계열사 임원들에게 자사주 2만7030주를 무상으로 부여하기로 했다. 최 회장은 1812주로 지급받았는데 이는 당시 종가 기준으로 6억6000만원에 달하는 규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