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들에게 중간배당을 약속한 롯데케미칼이 2년째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 석유화학 시장의 불황으로 5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하면서 배당 여력이 현격히 떨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롯데케미칼은 지난해 2022~2024년에 적용될 중장기 배당정책을 발표했다. 주요내용은 △별도 당기순이익 기준 배당성향 30% △중간배당 △자기주식 매입 등이다.
회사는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중간배당을 약속했지만, 중간배당 정책을 발표한 첫해부터 약속을 지키지 못했다. 석유업황 악화로 실적이 부진해지면서 기말배당으로 전환을 선언했다.
롯데케미칼 여수공장 [사진=롯데케미칼]
석유화학 불황이 이어지면서 롯데케미칼은 올해도 중간배당 약속을 지키지 못했다. 롯데케미칼은 지난 2분기까지 5개 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 중이다.
롯데케미칼은 올 2분기에도 연결 기준 매출 5조24억원, 영업손실 770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9%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적자 전환했다.
석유화학 제품 수요가 부진하면서 판가 하락으로 재고평가손실이 증가한 영향이다. 또, 원재료 역 래깅(원재료 투입 시차) 효과가 발생해 적자 규모가 증가했다.
롯데케미칼의 재무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점도 문제다. 지난해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위해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를 인수했지만, 실적 부진으로 현금창출력이 떨어진 탓이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총 인수 금액은 2조7000억원이다. 이 중 1조원은 현금·유상증자로 조달했고, 1조7000억원은 차입을 통해 확보했다.
지난 2분기 연결 기준 롯데케미칼의 총차입금은 8조7252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말 6조3247억원 대비 2조4000억원 가량 증가했다.
다만, 지난해 적자에도 배당을 실시한 만큼 올해도 기말 배당을 실시할 가능성이 있다.
롯데케미칼은 지난해 별도 기준 당기순손실 3183억원을 기록했지만, 주당 3500원의 배당을 지급했다.
롯데케미칼은 지난해 4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지속적인 적자가 지속될 경우 배당 수익률을 기준으로 국고채 3년 치를 기준으로 삼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롯데케미칼 관계자는 "중간배당 관련해선 진행되는 바가 없다"며 "지난해 적자를 기록했을 경우 배당수익률을 기준으로 배당을 결정했지만, 올해 기말 배당정책은 아직 정해진 바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