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병원, 한의원, 대형학원 등을 운영하는 ‘슈퍼리치’들이 금융 전문가들과 짜고 1000억원대 주가조작을 벌이다 금융당국에 적발됐다. 이재명 대통령의 지시로 자본시장 불공정거래 척결을 위해 출범한 합동대응단의 1호 사건으로, '주가조작 패가망신'의 본보기가 될지 주목된다.
23일 정부의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에 따르면 종합병원, 한의원, 대형학원 등을 운영하고 있는 사회적으로 명망있는 재력가들이 금융회사 지점장, 자산운용사 임원, 유명 사모펀드(PEF) 전직 임원 등 금융 전문가들과 공모해 지난해 초부터 지금까지 은밀하게 주가를 조작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400억원 상당의 부당이득을 취했고, 실제 얻은 시세 차익만 230억원에 이른다. 현재 보유 중인 주식도 1000억원 상당에 이른다.
종합병원, 한의원, 대형학원 등을 운영하는 ‘슈퍼리치’들이 금융 전문가들과 짜고 1000억원대 주가조작을 벌이다 금융당국에 적발됐다. [사진=주가조작 합동수사단 제공]
혐의자들은 평소 일별 거래량이 적은 종목을 주가조작 대상으로 정하고 자신들이 운영하는 법인자금, 금융회사 대출금 등을 동원해 1000억원 이상의 시세조종 자금을 조달, 유통물량의 상당수를 확보해 시장을 장악했다. 혐의자들의 매수주문량이 시장 전체의 3분의 1을 차지했다.
혐의자들은 고가매수, 허수매수, 시·종가관여 등 다양한 시세조종 주문을 통해 장기간에 걸쳐 꾸준한 주가 상승세를 만들어 투자자를 유인했다.
구체적으로 혐의자들은 자신들이 보유한 대량 주식으로 매매를 주도하면서 수 만회에 이르는 가장ㆍ통정매매 주문을 제출한 후 단기간 내 체결시키는 수법으로 거래가 성황을 이루는 듯한 착각을 일으켰다. 특히, 혐의기간 중 거의 하루도 빠짐없이 시세조종 주문을 제출하는 등 집요하고 적극적으로 시장을 지배했다.
또한, 이들은 금융당국의 감시망을 회피하기 위해 수십 개의 계좌를 통해 분산 매매하고 자금흐름을 은폐하였을 뿐 아니라 주문 IP를 조작하거나 주가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경영권 분쟁 상황을 활용한 정황도 발견됐다.
혐의자들은 주가조작을 쉽게 눈치채지 못하도록 고도의 지능적인 전략을 사용하면서 실제로는 1년 9개월 동안 거의 매일 주가조작을 실행해 유통주식 수량 부족으로 거래량이 적은 해당 주식의 주가를 주가조작 전 대비 약 2배 수준으로 상승시켰다.
이번 사건은 정부의 국정과제인 주가조작 근절을 위해 출범한 합동대응단의 1호 사건이다. 금감원이 시장감시 과정에서 최초로 포착해 초동 조사가 진행됐고, 합동대응단에 사건이 이첩됐다.
이날 금융위 산하 증권선물위원회는 주가조작에 이용된 수십개의 계좌에 대해 자본시장법에 따른 지급정지 조치를 최초로 시행했다. 합동대응단도 대형 작전세력들의 자택, 사무실 등 10여개 장소에 대해 전방위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금융위는 강제조사권을 활용해 혐의자 주거지 및 사무실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신속히 집행함으로써 진행 중인 주가조작 범죄를 즉각 중단시키고 범행관련 주요 증거를 확보했다. 서울남부지검도 주가조작 근절을 위해 이 사건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을 신속히 청구했다.
합동대응단 관계자는 “명망있는 사업가와 의료인, 금융 전문가 등 소위 엘리트 그룹이 공모한 치밀하고 지능적인 대형 주가조작 범죄를 합동대응단의 공조로 진행 단계에서 중단시킴으로써 범죄수익과 피해규모가 더 확산되기 전에 차단했다”며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증거 등을 기반으로 신속히 추가 조사를 마무리하고 엄정조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