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가 ‘보안퍼스트(Security First)’ 전략을 발표하며, 보이스피싱·스미싱 피해 예방을 최우선 과제로 삼은 새로운 비전을 제시했다.

29일 LG유플러스 용산 사옥에서 열린 보안 전략 간담회에서 홍관희 정보보안센터장(전무)은 “LG유플러스는 국내에서 누구보다 빠르게 보안의 중요성을 체감하고 체계적 투자를 이어왔다”며 “앞으로 고객이 체감할 수 있는 빈틈없는 보안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 3대 보안 축 기반, 5년간 7000억 투자

LG유플러스는 29일 용산 사옥에서 보안 전략 간담회를 개최했다. [사진=주주경제신문 박소연 기자]

LG유플러스는 보안 체계를 △보안 거버넌스 △보안 예방 △보안 대응 등 3대 축으로 정립했다. 첫 번째 축인 '보안 거버넌스'를 위해 2023년 7월 CEO 직속 정보보안센터를 신설해 독립적인 컨트롤타워를 구축했으며, 홍관희 센터장은 경영위원으로서 주요 의사 결정에 참여한다.

투자도 대폭 늘린다. 2024년 보안 투자액은 828억원으로 전년 대비 31.1% 증가했고, 향후 5년간 약 7000억원을 투입한다. 전담 인력도 2023년 157명에서 올해 293명으로 86% 확대됐다.

홍관희 전무는 "지난해 정보보안에 800억원 정도 투자했고 올해는 1200~1300억원 정도 투자했다. 앞으로 매년 이 수준으로 투자를 이어갈 것"이라며 "아마존 등 해외기업과 해외통신사와도 협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협업하고 있다"고 말했다.

■ 해킹 대비 강화, AI 관제로 ‘제로트러스트’ 실현

홍관희 전무가 △보안 거버넌스 △보안 예방 △보안 대응 등 3대 축으로 정립한 '보안퍼스트 전략'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주주경제신문 박소연 기자]

두 번째 축인 ‘보안 예방’을 위해 LG유플러스는 역대 최장기 블랙박스 모의해킹을 진행 중이다. 외부 화이트해커에게 자사 서비스에 대한 실전 해킹을 의뢰해 취약점을 발굴하는 방식으로, 내년 상반기까지 지속된다.

‘보안 대응’ 단계에서는 AI 기반 관제체계를 고도화하고 2027년까지 LG유플러스 특화 제로 트러스트 모델을 완성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SaaS·클라우드 환경에서 모든 접속을 검증하고, AI로 비정상 행위 탐지를 자동화해 선제적 보안 대응을 실현한다.

홍관희 전무는 "상반기 스미싱 문자를 2억2000만개 차단하는 성과가 있었고, 금액으로 환산하면 2000억원의 피해예방효과가 있었다"며 "보이스피싱은 실시간으로 2000여건 차단하고 있고 예방효과를 따지면 800억원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 보이스피싱·스미싱 대응 풀패키지 제공

LG유플러스는 고객 피해를 줄이기 위해 모니터링-범행 대응-긴급 대응의 3단계 풀패키지를 운영한다. AI 기반 분석시스템으로 24시간 스팸문자·악성 URL을 차단하고, 범죄 조직이 운영하는 악성 앱 서버를 직접 추적하는 것은 국내 통신사 중 유일하다. 실제로 2분기 보이스피싱 사건의 23%는 LG유플러스의 추적 결과 경찰에 전달된 사례였다.

범행 단계에서는 AI 통화 에이전트 ‘익시오’가 보이스피싱 의심 전화를 탐지해 경고하며, 안티딥보이스 기능으로 음성 조작도 식별한다. 긴급 대응이 필요한 경우에는 악성 앱 설치 고객에게 카카오톡 알림을 보내 즉시 대응하도록 안내하고, LG유플러스 매장과 경찰이 현장 지원에 나선다. 시행 첫 달에만 약 3000명에게 알림이 발송됐다.

■ 민관 협의체 제안, 경찰과 현장 공조

LG유플러스는 민생사기 근절을 위해 서울경찰청과 현장 공조체계를 운영 중이며, 과기부·방통위 등 정부 기관과도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사진=주주경제신문 박소연 기자]

LG유플러스는 민생사기 근절을 위해 민관협동 정보보안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현재 서울경찰청과 현장 공조체계를 운영 중이며, 과기부·방통위 등 정부 기관과도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홍관희 전무는 "보이스피싱은 통신사의 역할도 있지만 통신사 단독으로 근절할 수는 없다. 적극 대응을 하기 위해 AI 기술을 활용하는데 데이터를 활용하려면 법적인 제약이 있다. 따라서 금융회사, 정부 등과 함께 대응을 해야하며, 대통령실에서도 보이스피싱 대응 컨트롤타워를 구축하고 있는 상황이다"며 "LG유플러스도 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서 실조 고객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