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국내 기업 중 독보적인 인공지능(AI)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네이버와 LG도 AI와 관련한 지속적인 투자와 지원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국내 기업들의 AI 경쟁력은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에 크게 뒤처져 범국가적 차원의 투자와 정책지원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10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국내 AI 관련 특허와 논문 실적 상위 191개 기업을 대상으로 AI 경쟁력을 종합 평가한 결과, 삼성전자가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CEO스코어는 주요 기업의 △기술력(특허 피인용) △특허 활동(특허 등록 수) △학술 활동(세계 3대 AI 학회 논문 등재 수) △연구 영향력(논문 인용 수) △AI 기술인력 △AI 전공인력 등 총 6개 부문으로 나누어 주요 기업의 AI 경쟁력을 평가했다. 항목별 1위 기업의 수치를 100점으로 환산, 나머지 기업과 비교하는 방식으로 점수를 매겼다.
삼성전자는 각 부문에서 600점 만점을 기록하며 종합 1위에 올랐다. 특허 등록 1079건, 특허 피인용 1347회, 논문 등재 59건, 논문 인용 315회, AI 기술인력 5만872명, AI 전공인력 2만8058명 등 조사 대상 각 항목에서 최상위권을 기록했다.
2위는 네이버가 차지했다. 네이버는 논문 등재(25건)와 인용(247회) 등 학술 부문에서 강점을 보이며, 국내 최고 수준의 AI 연구 역량을 증명했다. 3위에 오른 LG는 특허(등록 400건, 피인용 529회)와 논문(19건) 모두에서 탄탄한 경쟁력을 입증했다. LG의 경우, LG그룹내 AI 연구를 총괄하는 LG AI연구원과 사업을 담당하는 LG전자의 역량을 합산해 평가했다.
이들 세 기업의 뒤를 이어 K-게임 대표주자인 크래프톤를 비롯해 KT, 쿠팡, 현대차, 삼성SDS, SK텔레콤, 스트라드비젼 등이 AI 경쟁력 10위권 내에 이름을 올렸다.
국내 기업들이 AI 기술력 및 전문인력 확보에 큰 공을 들이고 있지만, 글로벌 시장에서의 AI 경쟁력은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 3대 AI 학회 논문 등재수를 조사한 결과, 알파벳(구글)이 820건으로 1위를 차지한 것을 비롯해 마이크로소프트(414건), 메타(385건), 아마존(273건) 등 미국 빅테크들이 대거 상위권에 포진했다. 국내 기업 중에서는 삼성전자(59건·12위), 네이버(25건·30위), LG(19건· 40위) 등 3개사만이 5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또한 논문 인용 수 기준으로는 격차가 더욱 벌어져 삼성전자(39위)와 네이버(47위)만이 세계 50위권에 포함됐다.
CEO스코어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범국가적으로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프로젝트들이 전개되는 상황에서 국내 주요 기업의 AI 경쟁력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마련됐다”고 밝혔다.
이어 “국내 기업들의 AI 경쟁력은 구글·MS 등 글로벌 빅테크와 비교해서는 크게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나, 개별 기업은 물론 범국가적인 차원에서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투자와 정책지원 등이 절실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