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시가총액 100대 기업의 주주환원 총액이 2년새 35%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주주환원 총액은 배당과 주식 소각 금액을 합친 것으로, 기업이 취득한 이익 중 주주에게 돌려준 금액을 나타낸다. 다만, 시가총액 대비 주주환원 총액 비율을 나타내는 주주환원율은 같은 기간 0.3%포인트 늘어나는 데 그쳤다. 주주환원 총액이 가장 많은 기업은 삼성전자, 주주환원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KT&G다.
6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지난 6월 30일 기준 시가총액 상위 100대 기업을 대상으로 2022~2024년 주주환원총액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100대 기업의 주주환원총액은 45조5785억원으로, 2022년 33조7239억원 대비 11조8546억원(35.2%) 증가했다.
이 중 배당총액은 31조8891억원에서 37조3201억원으로, 5조4310억원(17.0%) 늘었다. 배당총액은 증가했지만, 전체 주주환원총액에서 배당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 94.6%에서 2024년 81.9%로 감소했다.
주식소각은 배당보다 더 큰 폭으로 늘었다. 2022년 1조8349억원이던 주식소각총액은 2024년 8조2583억원으로, 6조4234억원(350.1%) 증가했다.
▲100대 기업 주주환원율 2.7%..2년새 0.3%P 증가 그쳐
100대 기업의 주주환원율은 2022년 2.4%에서 2024년 2.7%로 0.3%포인트 증가했다. 2022년 100대기업의 시총은 1405조4819억원, 주주환원총액은 33조7239억원이었다. 2024년에는 시총이 1664조9773억원, 주주환원총액이 45조5785억원이다.
지난해 시총 대비 주주환원총액 비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KT&G로, 100대 기업 중 유일하게 10% 대(10.0%)을 기록했다. 지난해 KT&G의 시가총액은 13조4263억원였으,며 주주환원에 투입된 금액은 1조3413억원이었다. 특히 KT&G는 주식소각을 통한 주주환원 비중이 56.1%에 달했다.
이어 △키움증권(9.1%) △우리금융지주(9.0%) △삼성증권(8.0%) △SK텔레콤(8.0%) △NH투자증권(7.9%) △하나금융지주(7.8%) △기업은행(7.4%) △기아(7.3%) △삼성물산(7.3%) 등이 상위 10위에 이름을 올렸다.
다음으로는 △GS(6.9%) △삼성카드(6.5%) △SK이노베이션(6.4%) △신한지주(6.4%) △현대차(6.4%) △KT(6.3%) △LG유플러스(6.2%) △미래에셋증권(5.9%) △POSCO홀딩스(5.7%) △DB손해보험(5.6%) 등이 20위 이내에 자리했다. 이들 20개사 중 10개사가 금융사로, 금융권의 주주환원이 상대적으로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화오션 등 17개사는 주주환원 ‘0’
지난해 주주환원을 전혀 하지 않은 기업도 17사에 달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LG에너지솔루션 △두산에너빌리티 △한화오션 △알테오젠 △삼성중공업 △카카오페이 △에코프로비엠 △포스코퓨처엠 △SK바이오팜 △HLB △레인보우로보틱스 △휴젤 △LG디스플레이 △펩트론 △리가켐바이오 △SKC 등으로, 지난해 배당과 주식소각 실적이 전혀 없었다.
2022년 대비 주당 주주환원총액 증가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HD현대일렉트릭으로, 2022년 500원에서 2024년 5350원으로 970.0%(4850원) 증가했다.
이어 △셀트리온(415원→3418원, 723.6%↑) △카카오뱅크(80원→360원, 350.0%↑) △삼성물산(2300원→9155원, 298.0%↑) △NAVER(914원→3371원, 268.8%↑) △한미반도체(405원→1484원, 266.4%↑) △메리츠금융지주(1343원→4900원, 264.9%↑) △한화에어로스페이스(1000원→3500원, 250.0%↑) △키움증권(3227원→1만160원, 214.8%↑) △LS ELECTRIC(1100원→2900원, 163.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셀트리온은 지난해 현금·주식을 함께 배당했으며, 주식소각을 통해 역대 최대 규모의 주주환원을 단행했다. 삼성물산은 2023년부터 주주환원정책을 통해 배당수익의 60~70%를 환원했다. 키움증권 역시 주주환원정책에 자사주 소각을 명시한 이후, 지난해 첫 자사주 소각 및 배당을 약 2배 늘렸다.
2022년 대비 주당 주주환원총액이 증가한 기업은 100개 중 68개, 2년 연속 주당 주주환원총액이 증가한 기업은 45개로 각각 집계됐다.
반면 2022년 대비 주당 주주환원총액이 감소한 기업은 15개사였다. 이들 중 HLB, 에코프로비엠, SKC는 2022년 이후 배당 및 주식소각을 중단했다. 2년 연속 주당 주주환원총액이 감소한 기업은 100개 중 6개사(HMM·HD현대·포스코퓨처엠·S-Oil·엔씨소프트·LG화학)로 집계됐다.
주당 주주환원총액 감소율이 가장 큰 기업은 S-Oil로, 2022년 5501원에서 2024년 126원으로 97.7%(5375원) 줄었다. S-Oil은 2023년 이후 수익성이 저하되며 주요 사업 투자를 목적으로 주주환원규모를 축소함에 따라 배당성향 가이드라인을 30%에서 20%이상으로 하향 조정했다.
이어 △LG화학(1만5원→1005원, 90.0%↓) △엔씨소프트(6680원→1460원, 78.1%↓) △HMM(1200원→600원, 50.0%↓) △HD현대(4600원→3600원, 21.7%↓) △POSCO홀딩스(1만9693원→1만5718원, 20.2%↓) △삼성전기(2102원→1802원, 14.3%↓) △LG생활건강(4006원→3506원, 12.5%↓) △삼성에스디에스(3200원→2900원, 9.4%↓) △삼성SDI(1031원→1001원, 2.9%↓) 순으로 집계됐다.
LG화학은 실적 악화로 인해 배당성향을 30%에서 20%로 단기적 하향조정에 나선 바 있으며, 엔씨소프트도 실적 악화 및 지난해 대규모 희망퇴직에 따른 지출 급증으로 배당정책을 조정했다.
▲주식 소각 비중 SK스퀘어 가장 높아..삼성물산 1조원 소각
지난해 주주환원총액 중 주식소각 비중이 가장 큰 곳은 SK스퀘어(1965억원, 100%)와 크래프톤(1196억원, 100%)으로 각각 집계됐다. 이들은 배당 없이 주식소각으로만 주주환원을 단행했다.
이어 △카카오(85.6%, 1771억원) △셀트리온(76.6%, 5367억원) △SK이노베이션(72.7%, 7936억원) △메리츠금융지주(72.7%, 6401억원) △삼성물산(71.6%, 1조725억원) △NAVER(66.4%, 3336억원) △KT&G(56.1%, 7529억원) △미래에셋증권(53.0%, 1656억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이 중 삼성물산은 전체 조사대상 기업 중 유일하게 주식소각 비용이 1조원을 넘겼다.
재계 관계자는 “기업들이 전반적으로 주주환원을 확대하는 추세로, 자산으로 인식되는 주식을 소각하기 보다는 배당을 늘리는 쪽으로 주주환원을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