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헌법재판소가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파면 선고을 내린 직후 주요 경제단체들은 입장문을 내고 헌재의 결정을 존중한다며 국정의 조속한 정상화와 민생 경제 회복을 위한 여야 협치를 촉구했다.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는 이날 논평을 통해 "헌재 결정을 존중한다"며 "현재 우리 경제는 내수 침체와 주력 산업의 경쟁력 약화와 미국 관세 조치 및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 대내외적으로 복합적인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엄중한 경제 상황을 고려할 때 이제는 사회적 대립과 갈등을 넘어 국정이 조속히 정상화되고, 경제 회복과 민생 안정을 위한 노력이 지속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경제계는 우리 경제의 지속 성장을 위해 모든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은 "경영계는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존중한다"며 "국민 모두가 헌재의 결정을 겸허히 수용함으로써 그동안 탄핵정국으로 야기된 극심한 정치·사회적 대립과 갈등을 종식하고, 사회 통합과 안정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총은 "정부와 국회는 국정운영 공백과 국론분열에 따른 사회혼란이 조속히 해결될 수 있도록 여야를 초월한 협치의 리더십을 발휘해 주길 바란다"며 "노사를 비롯한 모든 경제주체들도 각자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며, 사회 안정과 우리 경제활력 제고를 위해 다 함께 힘을 모아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이번 결정을 계기로 국론 분열을 해소하고 대한민국이 직면한 위기의 극복을 위해 전 국민이 하나로 뭉치기를 희망한다"고 언급했다.
이어 "글로벌 산업 대전환의 흐름 속에서 우리 경제는 통상환경 악화, 주력산업 부진, 내수침체 등 복합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제는 경기회복과 민생경제 활력 제고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할 때다"며 "경제계도 한국경제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적극적인 투자와 고용 등 본연의 역할 수행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고 밝혔다.
[사진=대한상공회의소]
한국중견기업연합회(중견련)는 "헌법재판소의 최종 결정이 이뤄진 만큼, 최우선적으로 정부 정책 컨트롤 타워를 전력 가동, 사태의 인과를 면밀히 점검해 부문별 회복 방안을 최우선적으로 강구하고, 국회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향후 정치 경로 안정화에 만전을 기함으로써 추가적인 국가의 혼란을 일소하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견련은 "트럼프 2기 정부의 강경한 정책 기조가 우방국들에까지 과도한 관세 부과로 현실화하는 등 최악의 글로벌 경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공식, 비공식 외교적 채널을 전면 가동하고, 민간 외교관으로서 기업과의 시너지를 견인할 효율적인 협력체계를 구축, 빠르게 가동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됐지만, 국내 경제상황은 여전히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기업들은 미국 상호관세에 대응하면서 새로운 활로 개척에 집중해야 한다.
아울러 그동안 윤 전 대통령과 한 권한대행이 거부권으로 방어해왔던 상법 개정안과 노란봉투법 등의 정책이 차기 정권에서 다시 등장할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