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한국소호은행 기자간담회에서 김태현 실장이 이야기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주희 이사, 신서진 대표이사, 김동호 대표, 김태현 실장. (사진=김나경 기자)
한국소호은행이 제4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를 신청했다. 한국소호은행은 출범 4년 내 흑자전환을 예상한다. 또한 초기자본금 3000억원의 5배 수준인 자산 1조5000억원을 쌓기 전까지는 기업공개(IPO)를 서두르지 않겠다는 뜻을 전했다.
한국소호은행이 1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 혁신 서비스 제공계획은 발표했다.
앞서 한국소호은행은 지난달 26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제 제4 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 신청서를 제출했다. 컨소시엄 구성원은 대주주인 한국신용데이터(33.5%)와 하나은행(10%), LG CNS(10%), 우리은행(8%), 우리카드(2%), 아이티센(6.2%), 흥국생명(6%), 농협은행(5%), 부산은행(4%), 유진투자증권(4%), OK저축은행(4%), 흥국화재(2%), 티씨스(2%), 일진(1.7%), 메가존클라우드(1.7%) 등이다.
한국소호은행은 이날 출범 4년 내 흑자전환 할 것이며, 초기자본금인 3000억원의 5배 수준의 자산을 쌓기 전까지는 IPO를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박주희 한국신용데이터 이사는 “출범 후 4년 차에 흑저전환 될 것으로 생각한다”며 “예대마진만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비이자수익 비율을 20% 이상 유지사는 게 목표다. 또한 사업신용평가모델을 보유해 대손비용 및 위험가중자산(RWA) 관리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 대표는 “소호은행 컨소시엄 구성원은 전략적 투자자들이다. 투자한 자본에 대한 특정한 회수기한을 정하지 않았다”며 “초기자본금 3000억원의 5배인 1조5000억원의 자산이 쌓일 때 까지는 IPO 없이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는 공감대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모든 인터넷전문은행 컨소시엄 참여 구성원은 주주 간 계약서를 사전에 제출하게 되어있다. 참여 구성원들의 주주지분 비율도 중요하지만 거버넌스 유지에 대한 사전 서면 합의를 제출하는 것”이라며 “한국신용데이터가 지분율 33.5%의 대주주로서 한국소호은행을 주도하는 것으로 사전에 계약되어 있으니, 참여 기업이 많아 사업이 산으로 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는 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한국신용데이터의 사업 데이터를 소호은행이 활용하는 방안도 제시됐다.
김 대표는 “사업자정보는 개인정보와는 다르다. 개인정보 부분은 명시적인 동의 하에, 그 외의 사업자정보는 통계적 기초로 사용할 수 있을 예정이다. 또한 개인적인 정보는 대출은 신청하는 사장님의 동의를 받으면 된다”고 말했다.
개인고객 사업에 대한 계획도 제시됐다.
박주희 이사는 “캐시노트는 200만 개의 동네 가게 중 170만 가게가 사용하는 점유율 85%의 플랫폼이다. 새로운 고객 확보와 충성고객 확보에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동호 대표는 “직장인 고객을 대상으로 한다고는 말하기 어렵다”며 “하지만 캐시노트를 사용하는 170만 사업자분들은 개인이기도 하면서 소상공인이기도 하다. 또한 해당 사업장의 근로자 역시 캐시노트 플랫폼으로 초대해 개인고객 대상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소상공인 사업장은 412만5000여 곳이다. 이곳에서 일하는 근로자는 714만3000여 명이다. 이들을 합하여 총 1100만 명에게 비즈니스 확장이 가능한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