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증인으로 출석한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이 발언을 이어가고 있다. (사진=국회방송)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증인으로 출석한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이 손태승 전 회장의 부당대출 논란에도 사퇴를 언급하지 않았다.
이날 이강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우리은행 사태는 검사와 모피아의 주도권 싸움이라고 보는 견해가 있다. 은행은 많은 이익을 남기고 많은 급여를 준다. 그러다 보니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용산이 검사 출신 금융감독원을 통해 모피아와 밥그릇 싸움을 하며 신(新) 관치 논란을 일으키고 인사 개입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강일 의원은 이어 “우리금융 사태는 정권의 인사 개입 사건이다. 연임 의지를 보이던 손 전 회장을 주저앉히고 임종룡 회장을 회장 자리에 앉히는 데 이복현 금감원장의 상당한 영향력이 있었다”며 “그런데 이번에는 이 원장이 임 회장을 내몰고 있다. 손 전 회장 부당대출에 대한 책임을 전임(손 전 회장)이 아닌 현 경영진에게 묻고 부당대출과 관련 없는 동양생명, ABL생명 인수까지 거론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윤석열 대통령이 검사였던 시절 함께 현대자동차 비자금 사건 등을 수사해 ‘윤석열 사단의 막내’로 불리는 인사다.
검사 출신인 이복현 금감원장이 과거 기획재정부 제1차관과 국무총리실장, 금융위원회 위원장 등을 지낸 모피아(재무부 출신 인사) 대부 임종룡 회장과 대립하는 상황을 해석한 것이다.
이 의원은 이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간의 불통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이 의원은 “금융감독원의 말대로 중대 금융 사고라면 금융위원회와 논의하는 것이 맞다. 우리은행이 보도자료를 내기 전까지 금융위에 보고하지 않았다”며 “금융위원장도 모피아 출신이라 금감원장에게 패싱(무시) 당한 것이 아니냐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임 회장과 김 금융위원장은 이에 즉각 반대 입장을 밝혔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보도자료 내기 전에 보고 받았다”면서 “부당대출에 대한 감독과정을 인사 개입으로 보는 것은 지나치다”고 말했다.
임종룡 회장 역시 “(금감원의 우리금융 조사에 대해) 인사 개입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 의원은 “하지만 이미 이복현 원장이 깔아준 판에 (임종룡 회장이) 올라섰다”며 “지금 부메랑이 되어 돌아오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은 사퇴론에 대해서는 ‘사퇴’ 대신 ‘책임’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정확한 사퇴 언급을 피했다.
이강일 의원은 임 회장에게 “금융감독원과 우리금융지주 사이가 묘하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관계가 회복될 수 없어 보인다. 이사회에서 손 전 회장의 조사 결과를 임 회장의 연임 여부 결정에 사용한다고 한다. 조만간 사퇴할 건가?”라고 질문했다.
이에 임종룡 회장은 “친인척 부당대출에 깊은 책임감을 느낀다”고 답했다.
여당에서도 사퇴 여부를 묻는 목소리가 나왔다.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은 “오늘 이상적으로 (추후 개선 방향을) 말했지만, 만약 횡령·배임이 또다시 발생한다면 거취를 어떻게 할 것인가?”라고 물었다.
임 회장은 이에 “또 발생하면 책임지는 상황은 책임지겠다”고 말했다.